맨위로가기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은 국제 스키 연맹(FIS)이 프리스타일 스키를 정식 종목으로 승인하면서 1979년 시작되었다. 에어리얼, 모굴, 아크로 3종목과 컴바인으로 시작하여, 듀얼 모굴, 스키 크로스,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빅에어 등의 종목이 추가되었다. 현재는 모굴, 에어리얼, 듀얼 모굴, 스키 크로스,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빅에어 등의 경기가 진행되며, 각 종목별 성적과 종합 성적에 따라 우승자를 결정한다. 미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등에서 개최되었으며, 아시아에서는 일본, 남반구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스타일 스키 대회 - 올림픽 프리스타일
    올림픽 프리스타일은 동계 올림픽의 스키 종목으로, 1992년 모굴 스키를 시작으로 에어리얼, 스키 크로스,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등이 추가되었고, 2022년에는 빅에어와 혼성 단체 에어리얼이 추가되어 현재 다양한 세부 종목이 있으며, 2026년에는 혼성 에어리얼 단체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예정이다.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
대회 정보
종목모굴
에어리얼
스키 크로스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빅 에어
위치유럽
일본
캐나다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벨라루스
뉴질랜드
대한민국
중국
러시아
최초 개최1980년 1월 5일
주최국제 스키 연맹
주요 인물조 피츠제럴드 (코디네이터)
카트린 호스테틀러 (어시스턴트)
JP 바라로 (SX 및 SBX 레이스 디렉터)
현재 시즌2024–25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

2. 역사

1979년 FIS가 프리스타일 스키를 정식 종목으로 승인하면서 월드컵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첫 대회는 1979-1980 시즌에 개최되었으며, 실제 경기는 1980년 1월에 처음 열렸다. 초기에는 모굴(MO), 에어리얼(AE), 아크로(AC), 컴바인(CO) 4개 종목으로 구성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종목 구성에 변화가 있었다. 1995–96 시즌부터 듀얼 모굴(DM) 종목이 추가되었고, 1996–97 시즌을 마지막으로 컴바인(CO) 종목이 폐지되었다. 아크로(AC) 종목은 1999–2000 시즌 이후 제외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종목들이 추가되었다. 2002–03 시즌에는 스키 크로스(SX)가 정식 종목으로 추가되었고, 2003–04 시즌부터는 하프파이프(HP)가 추가되었다. 이후 2011–12 시즌에는 슬로프스타일(SS)이, 2015–16 시즌에는 빅에어(BA)가 새롭게 월드컵 종목으로 포함되었다.

또한, 1999–2000 시즌부터는 올림픽 중간 해에 4년마다 알파인, 노르딕, 스노보드 등 다른 종목과 함께 최종전을 치르는 그랜드 파이널이 개최되고 있다.

3. 경기 종목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은 여러 세부 종목으로 나뉘어 경쟁하며, 시대에 따라 종목 구성에 변화가 있었다. 현재 월드컵에서 주로 열리는 경기 종목은 다음과 같다.

현재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 경기 종목
종목약어
모굴MO
에어리얼AE
듀얼 모굴DM
스키 크로스SX
하프파이프HP
슬로프스타일SS
빅에어BA



월드컵 초기에는 모굴(MO), 에어리얼(AE)과 함께 현재는 제외된 아크로(AC) 및 컴바인(CO) 종목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일부 종목이 제외되고 새로운 종목이 추가되는 변화를 겪었다.

1995-1996 시즌에는 듀얼 모굴(DM)이 추가되었으며, 이후 모굴 종목과의 통합 및 분리를 반복하는 등 운영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2000년대 들어 뉴스쿨 스키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종목들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2002-2003 시즌에는 스키 크로스(SX)가, 2003-2004 시즌에는 하프파이프(HP)가 정식 종목으로 추가되었다. 이후 2011-2012 시즌에는 슬로프스타일(SS)이, 2015-2016 시즌에는 빅에어(BA)가 추가되어 현재의 종목 구성을 갖추게 되었다. 과거에 있었던 아크로와 컴바인 종목은 현재 월드컵에서 제외되었다.

3. 1. 과거 경기 종목

월드컵 초창기에는 에어리얼(AE), 모굴(MO), 아크로(AC) 3개 종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순위를 정하는 컴바인(CO) 종목이 있었다. 컴바인은 1996-1997 시즌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발레 스키(Ballet Ski)라고도 불렸던 아크로(AC) 종목 역시 초창기부터 있었으나, 심판 판정의 주관성 문제와 동계 올림픽 정식 종목 진입 실패로 인한 인기 하락으로 인해 1999-2000 시즌을 끝으로 월드컵 종목에서 제외되었다.

4. 경기 방식 및 점수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에 출전하기 위해서는 FIS 공인 대회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FIS 포인트를 획득해야 한다. 또한, 각 국가 스키 연맹 소속 선수의 FIS 포인트를 기준으로 국가별 출전 쿼터가 정해지며, 최대 12명(남녀 각각 7명까지)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선수들은 자국 스키 연맹의 국가대표로 선발되어야 월드컵에 참가할 수 있다.

각 종목별 대회 성적에 따라 월드컵 포인트(FIS 포인트와는 별개)가 주어지며, 이 포인트를 합산하여 시즌 종합 순위를 결정한다. 포인트 배점 방식은 여러 차례 개정되었는데, 특히 1992-1993 시즌과 2003-2004 시즌에 큰 변화가 있었다. 초기에는 순위 간 점수 차가 크지 않았으나, 개정을 거치며 상위권 선수들에게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순위 간 점수 차이를 크게 벌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대회 우승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자세한 점수 배분은 아래 문단 참조)

2002-2003 시즌까지는 전체 대회 중 성적이 좋지 않은 일부 대회(약 25%)의 점수를 제외하는 유효 포인트제를 채택했으나, 2003-2004 시즌부터 폐지되어 모든 대회의 점수를 합산하여 순위를 정한다.

각 종목별 성적 외에도 선수의 인품이나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루키 오브 더 이어(Rookie of the Year)'를 선정하기도 한다.

전 종목 종합 순위인 오버롤(Overall) 성적은 각 종목에서의 획득 포인트 평균을 합산하여 결정한다. 이는 종목별로 개최되는 대회 수의 차이에서 오는 불공정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식이다.

국가 대항전 성격의 '네이션스 컵(Nations Cup)'도 운영된다. 각 종목 및 오버롤 순위에서 국가별 상위 남녀 각 2명(총 4명)의 포인트를 합산하여 국가 순위를 정한다.

과거에는 여러 종목의 성적을 합산하는 복합 종목(Combined)이 주요 종목이었기 때문에 여러 종목에 출전하는 선수가 많았으나, 복합 종목이 폐지되고 각 프리스타일 스키 종목이 고도로 전문화되면서 여러 종목을 병행하는 선수는 크게 줄었다. 또한, 각 종목 대회가 같은 날 또는 비슷한 시기에 열리는 경우가 많아 여러 종목에 출전하기 어려워졌다. 이로 인해 2000년대 이후로는 특정 종목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둔 선수가 오버롤 종합 우승까지 차지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4. 1. 점수 배분 (2003-2004 시즌 이후)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에서는 각 종목 성적에 따라 포인트를 부여하며, 획득한 포인트의 합계로 연간 종합 순위를 결정한다. 포인트 배분 방식은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며, 2003-2004 시즌부터는 새로운 점수 체계가 도입되었다.

이전에는 1위부터 25위까지 비교적 고른 점수 차로 포인트를 배분했으나(1991-1992 시즌 이전: 1위 25점 ~ 25위 1점, 1992-1993 시즌 이후: 1위 100점 ~ 25위 4점), 2003-2004 시즌 개정 이후에는 상위권 선수들에게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순위 간 점수 차이를 크게 벌렸다. 예를 들어, 1위는 100점, 2위는 80점, 3위는 60점을 받는 방식으로 변경되어, 대회 우승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30위까지 점수가 차등 지급되며, 16위부터 30위까지는 1점씩 감소하는 방식으로 점수가 부여된다.

또한, 2002-2003 시즌까지는 전체 대회 중 성적이 좋지 않은 일부 대회의 점수를 제외하는 유효 포인트제를 사용했지만, 2003-2004 시즌부터는 이 제도가 폐지되어 참가한 모든 대회의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하게 되었다.

2003-2004 시즌 이후의 순위별 점수 배분은 다음과 같다.

2003-2004 시즌 이후 순위별 점수 배분
순위점수순위점수
1위10016위15
2위8017위14
3위6018위13
4위5019위12
5위4520위11
6위4021위10
7위3622위9
8위3223위8
9위2924위7
10위2625위6
11위2426위5
12위2227위4
13위2028위3
14위1829위2
15위1630위1


5. 역대 종합 우승자

남자부에서는 니콜라스 폰틴이 4연승으로 최다 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스티브 오미슐과 니콜라스 폰틴이 각각 4회 우승으로 최다 종합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2012년 기준). 여자부에서는 코니 키슬링이 1983년부터 1991-92 시즌까지 10연패를 달성하여 최다 연승 및 최다 우승(10회) 기록을 가지고 있다.

5. 1. 남자

남자부 모굴 종목에서 최장 연패 기록은 데일 베그-스미스와 에드가 그로스피롱이 기록한 3연패이다. 데일 베그-스미스와 에드가 그로스피롱은 각각 4회 종합 우승으로 남자부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2012년 기준). 남자부 듀얼 모굴 종목에서 연패를 달성한 선수는 아직 없다. 싱글 모굴과 듀얼 모굴 종목에서 한 시즌에 동시 우승한 선수는 1999-2000 시즌의 야네 라흐텔라와 2006-2007 시즌의 데일 베그-스미스 두 명뿐이다.

아래는 시즌별 남자 모굴 종목 우승자 목록이다.

시즌남자부
싱글듀얼
2012-2013미카엘 킹스버리
2011-2012미카엘 킹스버리
2010-2011길베르 콜라
2009-2010데일 베그-스미스
2008-2009알렉상드르 빌로도
2007-2008데일 베그-스미스
2006-2007데일 베그-스미스데일 베그-스미스
2005-2006데일 베그-스미스
2004-2005제러미 블룸
2003-2004야네 라흐텔라
2002-2003트래비스 캐브럴야네 라흐텔라
2001-2002제러미 블룸리샤르 게
2000-2001미코 론카이넨미개최
1999-2000야네 라흐텔라야네 라흐텔라
1998-1999야네 라흐텔라토니 에메리
1997-1998조니 모슬리예스페르 뢴베크
1996-1997장뤼크 브라사르토니 에메리
1995-1996장뤼크 브라사르예스페르 뢴베크
1994-1995세르게이 슈플레초프미개최
1993-1994에드가 그로스피롱미개최
1992-1993장뤼크 브라사르미개최
1991-1992에드가 그로스피롱미개최
1990-1991에드가 그로스피롱미개최
1989-1990에드가 그로스피롱미개최
1988-1989넬슨 카마이클미개최
1987-1988넬슨 카마이클미개최
1986-1987마르티 케로쿰푸미개최
1985-1986스티브 데소비치미개최
1984-1985필리프 브롱미개최
1983-1984필리프 브롱미개최
1982-1983빌 키넌미개최
1981-1982나누 푸르티에미개최
1980-1981나누 푸르티에미개최
1979-1980그레그 애선스미개최


5. 2. 여자

마르야 엘프만2000–01 재키 쿠퍼 (3) 카리 트라 알라 추페르2001–02 카리 트라 알라 추페르 한나 하더웨이2002–03 카리 트라 (2) 잉그리드 베른트센 마가리타 마블러2003–04 카리 트라 (3) 마리 마르티노 버지니 파브르2004–05 리 니나 오펠리 데이비드 카린 후타리2005–06 오펠리 데이비드 카린 후타리 제니퍼 헤일2006–07 제니퍼 헤일 재키 쿠퍼 리 니나2007–08 오펠리 데이비드 (2) 재키 쿠퍼 우에무라 아이코2008–09 오펠리 데이비드 (3) 한나 카니 제니퍼 헤일2009–10 리 니나 (2) 오펠리 데이비드 제니퍼 헤일2010–11 한나 카니 제니퍼 헤일 청 솽2011–12 한나 카니 (2) 쉬 멍타오 마리엘 톰슨2012–13 쉬 멍타오 버지니 파브르 로잘린 그루네보드2013–14 한나 카니 (3) 리 니나 저스틴 뒤포-라포인트2014–15 한나 카니 (4) 안나 홀룬드 킬리 매키넌2015–16 데빈 로건 안나 홀룬드 티릴 셔스타드 크리스찬센2016–17 브리트니 콕스 엠마 달스트룀 마리엘 톰슨2017–18 산드라 네슬런드 쉬 멍타오 제니 리 부르만손2018–19 페린 라퐁 쉬 멍타오 패니 스미스2019–20 페린 라퐁 (2) 산드라 네슬런드 패니 스미스



여자부 종합 최다 연승 기록은 코니 키슬링이 1983년부터 1991-92 시즌까지 달성한 10연패이며, 최다 우승 횟수 역시 코니 키슬링의 10회이다.

6. 기록

남자부에서는 알랭 라로슈와 에릭 라부레이가 각각 4회의 종합 우승으로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알랭 라로슈는 3연패 기록을 가지고 있다. 여자부에서는 코니 키슬링이 9회의 종합 우승과 9연패라는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다.

6. 1. 최다 종합 우승 기록

프랑스의 오펠리 다비드는 여자부 최다 종합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그녀는 2012년 기준으로 총 7번의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는 7년 연속 우승 기록이기도 하다.

6. 1. 1. 남자

(캐나다) 알랭 라로슈4스키 크로스(체코) 토마시 크라우스4에어리얼(캐나다) 니콜라스 퐁텐
(캐나다) 스티브 오미쉴4듀얼 모굴(스웨덴) 예스퍼 뢴백
(프랑스) 토니 에메리
(핀란드) 얀네 라흐텔라2하프파이프(핀란드) 칼레 레이노넨
(미국) 데이비드 와이즈
(프랑스) 케빈 롤랑2슬로프스타일6명의 선수1



남자부에서는 하프파이프 종목에서 칼레 레이노넨의 2연패가 최다 연패 기록이며, 종합 우승 횟수도 칼레 레이노넨의 2회가 최다이다 (2012년 기준).

다음은 하프파이프 종목의 시즌별 남자 우승자 목록이다.

시즌남자 우승자
2012-2013(캐나다) 마이크 리들
2011-2012(미국) 데이비드 와이즈
2010-2011(프랑스) 브누아 발랑탱
2008-2009(프랑스) 케빈 롤란드
2007-2008(캐나다) 매튜 헤이워드
2006-2007(핀란드) 칼레 레이노넨
2005-2006(핀란드) 칼레 레이노넨
2003-2004(프랑스) 마티아스 벡스틴


6. 1. 2. 여자

3위: 프랑스 오펠리 데이비드, 오스트레일리아 재키 쿠퍼, 노르웨이 카리 트라

4위: 미국 해나 커니

10위: 스위스 코니 키슬링

시즌여자
2012-2013미국 켈리 허먼
2011-2012노르웨이 린-이다 무르드


6. 2. 최다 종목별 우승 기록

아래는 각 종목별 최다 우승 기록 및 최다 연패 기록이다. (2012-13 시즌 종료 기준)

종목별 최다 우승 기록
종목구분최다 우승자 (횟수)최다 연패 기록 (횟수)
모굴남자데일 베그-스미스 (오스트레일리아), 에드가 그로스피롱 (프랑스) (4회)데일 베그-스미스 (3연패)
여자제니퍼 하일 (캐나다), 도나 와인브레히트 (미국) (5회)제니퍼 하일 (4연패)
스키 발레 (에크로)남자헤르만 리트베르거 (독일) (5회)헤르만 리트베르거 (5연패)
여자잔 부처 (미국) (7회)잔 부처 (5연패)
종합남자알랭 라로슈 (캐나다), 에릭 라부레이 (프랑스) (4회)알랭 라로슈 (3연패)
여자코니 키슬링 (스위스) (9회)코니 키슬링 (9연패)
스키 크로스남자토마스 클라우스 (체코) (4회)토마스 클라우스 (2연패)
여자오펠리 다비드 (프랑스) (7회)오펠리 다비드 (7연패)
에어리얼남자스티브 오미슐 (캐나다), 니콜라스 퐁텐 (캐나다) (4회)니콜라스 퐁텐 (4연패)
여자재키 쿠퍼 (호주) (5회)마리-클로드 아슬랭 (캐나다), 재키 쿠퍼 (호주) (3연패)
듀얼 모굴남자예스퍼 뢴백 (스웨덴), 토니 에메리 (프랑스), 얀네 라흐텔라 (핀란드) (2회)없음
여자캔디스 길그 (프랑스), 카리 트라 (노르웨이) (2회)캔디스 길그 (2연패)
하프파이프남자칼레 레이노넨 (핀란드) (2회)칼레 레이노넨 (2연패)
여자사라 버크 (캐나다), 버지니 파브르 (스위스) (2회)없음
슬로프스타일남자해당 없음 (2012-13 시즌 기준 각 1회 우승자만 존재)해당 없음
여자해당 없음 (2012-13 시즌 기준 각 1회 우승자만 존재)해당 없음


6. 2. 1. 모굴

남자부에서는 데일 베그-스미스와 에드가 그로스피롱이 각각 3연패를 달성한 바 있으며, 2012년 기준으로 두 선수 모두 통산 4회 우승으로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남자부 듀얼 모굴 종목에서 연패를 기록한 선수는 없다. 남자부에서 싱글과 듀얼 모굴을 동시에 석권한 선수는 1999-2000 시즌의 야네 라하텔라와 2006-2007 시즌의 데일 베그-스미스 두 명뿐이다.

여자부에서는 제니퍼 하일이 4연패를 달성한 것이 최다 연패 기록이며, 2012년 기준으로 제니퍼 하일과 도나 와인브레히트가 각각 통산 5회 우승으로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여자부 듀얼 모굴에서는 캔디스 길그가 유일하게 2연패를 달성했다. 여자부에서 싱글과 듀얼 모굴을 동시에 석권한 선수는 2006-2007 시즌의 제니퍼 하일이 유일하다.

시즌남자부여자부
싱글듀얼싱글듀얼
2012-2013캐나다 미카엘 킹스버리미국 한나 카니
2011-2012캐나다 미카엘 킹스버리미국 한나 카니
2010-2011프랑스 길버트 콜라스미국 한나 카니
2009-2010오스트레일리아 데일 베그-스미스캐나다 제니퍼 하일
2008-2009캐나다 알렉산더 빌로도미국 한나 카니
2007-2008오스트레일리아 데일 베그-스미스일본 우에무라 아이코
2006-2007오스트레일리아 데일 베그-스미스오스트레일리아 데일 베그-스미스캐나다 제니퍼 하일캐나다 제니퍼 하일
2005-2006오스트레일리아 데일 베그-스미스캐나다 제니퍼 하일
2004-2005미국 제레미 블룸캐나다 제니퍼 하일
2003-2004핀란드 야네 라하텔라캐나다 제니퍼 하일
2002-2003미국 트래비스-앤톤 캐브로우핀란드 야네 라하텔라미국 샤논 버키오스트리아 마르가리타 머블러
2001-2002미국 제레미 블룸프랑스 리샤르 게이노르웨이 카리 트로독일 크리스틴 겔그
2000-2001핀란드 미코 론카이넨노르웨이 카리 트로
1999-2000핀란드 야네 라하텔라핀란드 야네 라하텔라스웨덴 마리아 엘프만노르웨이 카리 트로
1998-1999핀란드 야네 라하텔라프랑스 토니 에메리미국 앤 바텔미국 미셸 로크
1997-1998미국 조니 모즐리스웨덴 재스퍼 론백스웨덴 마리아 엘프만노르웨이 카리 트로
1996-1997캐나다 장-뤼크 브라사르프랑스 토니 에메리독일 타티아나 미터마이어프랑스 캔디스 길그
1995-1996캐나다 장-뤼크 브라사르스웨덴 재스퍼 론백미국 도나 와인브레히트프랑스 캔디스 길그
1994-1995러시아 세르게이 슈프레초프프랑스 라파엘 모노
1993-1994프랑스 에드가 그로스피롱미국 도나 와인브레히트
1992-1993캐나다 장-뤼크 브라사르노르웨이 스텐 리사 하테스타트
1991-1992프랑스 에드가 그로스피롱미국 도나 와인브레히트
1990-1991프랑스 에드가 그로스피롱미국 도나 와인브레히트
1989-1990프랑스 에드가 그로스피롱미국 도나 와인브레히트
1988-1989미국 넬슨 카마이클프랑스 라파엘 모노
1987-1988미국 넬슨 카마이클노르웨이 스텐 리사 하테스타트
1986-1987핀란드 마르티 케로쿰푸프랑스 라파엘 모노
1985-1986미국 스티브 데소비치미국 마리 조 티안포
1984-1985프랑스 필립 브론미국 마리 조 티안포
1983-1984프랑스 필립 브론미국 힐러리 잉글리쉬
1982-1983캐나다 빌 키난미국 헤일리 울프
1981-1982프랑스 나노 포체미국 힐러리 잉글리쉬
1980-1981프랑스 나노 포체미국 힐러리 잉글리쉬
1979-1980캐나다 그레그 아산스미국 힐러리 잉글리쉬


6. 2. 2. 스키 발레(에크로)

남자부에서는 헤르만 리트베르거(독일)가 5회로 최다 종합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5연패 기록 또한 가지고 있다. 여자부에서는 잔 부처(미국)가 7회로 최다 종합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5연패 기록 또한 가지고 있다.

시즌남자여자
1979-1980미국 밥 하워드미국 잔 부처
1980-1981미국 밥 하워드미국 잔 부처
1981-1982미국 이안 에드몬슨미국 잔 부처
1982-1983독일 리처드 스카브룰미국 잔 부처
1983-1984독일 리처드 스카브룰미국 잔 부처
1984-1985독일 헤르만 리트베르거프랑스 크리스틴 로시
1985-1986독일 헤르만 리트베르거미국 잔 부처
1986-1987독일 헤르만 리트베르거프랑스 크리스틴 로시
1987-1988독일 헤르만 리트베르거프랑스 크리스틴 로시
1988-1989독일 헤르만 리트베르거미국 잔 부처
1989-1990이탈리아 로베르토 프랑코스위스 코니 키스링
1990-1991노르웨이 르네 크리스티안센스위스 코니 키스링
1991-1992노르웨이 르네 크리스티안센스위스 코니 키스링
1992-1993노르웨이 르네 크리스티안센미국 엘렌 브린
1993-1994프랑스 파브리스 베케르미국 엘렌 브린
1994-1995노르웨이 르네 크리스티안센미국 엘렌 브린
1995-1996스위스 하이니 바움가르트너러시아 옐레나 바탈로바
1996-1997프랑스 파브리스 베케르러시아 옐레나 바탈로바
1997-1998프랑스 파브리스 베케르러시아 옐레나 바탈로바


6. 2. 3. 종합

남자부에서는 알랭 라로슈의 3연패가 최고 기록이며, 종합 우승 횟수는 알랭 라로슈와 에릭 라부레이의 4회가 최다 기록이다. 여자부에서는 코니 키슬링의 9연패가 최고 기록이며, 종합 우승 횟수도 코니 키슬링의 9회가 최다 기록이다.

시즌남자여자
1996-1997캐나다 토벤 서덜랜드
1995-1996미국 조니 모즐리
1994-1995미국 트레이스 워싱턴스위스 마야 슈미드
1993-1994캐나다 데이비드 벨뮤러스위스 마야 슈미드
1992-1993미국 트레이스 워싱턴캐나다 카테리나 쿠벤크
1991-1992미국 트레이스 워싱턴스위스 코니 키슬링
1990-1991프랑스 에릭 라부레이스위스 코니 키슬링
1989-1990프랑스 에릭 라부레이스위스 코니 키슬링
1988-1989캐나다 크리스 심볼리스위스 코니 키슬링
1987-1988캐나다 알랭 라로슈스위스 코니 키슬링
1986-1987프랑스 에릭 라부레이스위스 코니 키슬링
1985-1986프랑스 에릭 라부레이스위스 코니 키슬링
1984-1985캐나다 알랭 라로슈스위스 코니 키슬링
1983-1984캐나다 알랭 라로슈스위스 코니 키슬링
1982-1983캐나다 알랭 라로슈캐나다 마리-클로드 아슬란
1981-1982미국 프랭크 비도르캐나다 마리-클로드 아슬란
1980-1981미국 프랭크 비도르캐나다 마리-클로드 아슬란
1979-1980캐나다 그렉 아센스캐나다 스테파니 슬론


6. 2. 4. 스키 크로스

스키 크로스는 2002-03 시즌부터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의 정식 종목으로 포함되었다.

남자부에서는 체코의 토마스 클라우스가 4회 종합 우승을 차지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2회 연속 우승이 최다 연패 기록이다 (2012년 기준). 여자부에서는 프랑스의 오펠리 다비드가 7회 종합 우승 및 7회 연속 우승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2012년 기준).

시즌남자 우승자여자 우승자
2012-2013-- 스위스 알렉스 피바-- 스위스 파니 스미스
2011-2012-- 슬로베니아 필리프 플라이서-- 캐나다 마리엘 톰슨
2010-2011-- 오스트리아 안드레아스 마트-- 스웨덴 안나 홀름란트
2009-2010-- 스위스 미하엘 슈미트-- 프랑스 오펠리 다비드
2008-2009-- 체코 토마스 클라우스-- 프랑스 오펠리 다비드
2007-2008-- 체코 토마스 클라우스-- 프랑스 오펠리 다비드
2006-2007-- 노르웨이 오둔 그론볼드-- 프랑스 오펠리 다비드
2005-2006-- 체코 토마스 클라우스-- 프랑스 오펠리 다비드
2004-2005-- 체코 토마스 클라우스-- 프랑스 오펠리 다비드
2003-2004-- 스웨덴 예스페르 브루게-- 프랑스 발렌타인 스쿼트
2002-2003-- 일본 타키자와 히로오미-- 프랑스 발렌타인 스쿼트


6. 2. 5. 에어리얼

남자부에서는 니콜라스 퐁텐(캐나다)이 4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종합 우승 횟수는 스티브 오미슐(캐나다)과 니콜라스 퐁텐이 각각 4회로 가장 많다(2012년 기준). 여자부에서는 마리-클로드 아슬랭(캐나다)과 재키 쿠퍼(호주)가 각각 3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종합 우승 횟수는 재키 쿠퍼가 5회로 가장 많다(2012년 기준).

시즌남자여자
2012-2013중국 자종양중국 쉬멍타오
2011-2012캐나다 올리비에 로숑중국 쉬멍타오
2010-2011중국 치광푸중국 청솽
2009-2010BLR 안톤 쿠시니르중국 리니나
2008-2009캐나다 스티브 오미슐호주 리디아 라실라
2007-2008캐나다 스티브 오미슐호주 재키 쿠퍼
2006-2007캐나다 스티브 오미슐호주 재키 쿠퍼
2005-2006BLR 드미트리 다신스키스위스 에벨린 루
2004-2005미국 제레트 피터슨중국 리니나
2003-2004캐나다 스티브 오미슐호주 알리사 캠플린
2002-2003러시아 드미트리 아르키포프호주 알리사 캠플린
2001-2002미국 에릭 베르고스트BLR 알라 추페르
2000-2001미국 에릭 베르고스트호주 재키 쿠퍼
1999-2000캐나다 니콜라스 퐁텐호주 재키 쿠퍼
1998-1999캐나다 니콜라스 퐁텐호주 재키 쿠퍼
1997-1998캐나다 니콜라스 퐁텐미국 니키 스톤
1996-1997캐나다 니콜라스 퐁텐캐나다 베로니카 바우어
1995-1996프랑스 세바스티앙 포클라스스위스 코레트 브란트
1994-1995미국 트레이스 워싱턴미국 니키 스톤
1993-1994캐나다 필립 라로슈UZB 리나 체르야조바
1992-1993캐나다 로이드 랑글로이스UZB 리나 체르야조바
1991-1992캐나다 필립 라로슈호주 크리스티 마셜
1990-1991캐나다 필립 라로슈독일 엘피 짐히엔
1989-1990프랑스 장-마르크 바킨독일 소냐 라이히아르트
1988-1989노르웨이 토르 샤이에프랑스 카트린 롬바르
1987-1988캐나다 장-마르크 로존캐나다 메레디스 가드너
1986-1987캐나다 장-마르크 로존독일 소냐 라이히아르트
1985-1986캐나다 이브 라로슈캐나다 안나 프레이저
1984-1985캐나다 로이드 랑글로이스캐나다 메레디스 가드너
1983-1984캐나다 이브 라로슈스위스 에벨린 베르트
1982-1983스위스 산드로 베르트캐나다 마리-클로드 아슬랭
1981-1982캐나다 크레이그 크로캐나다 마리-클로드 아슬랭
1980-1981캐나다 장 콜리보캐나다 마리-클로드 아슬랭
1979-1980캐나다 존 이브스캐나다 로렐리 보위


6. 2. 6. 듀얼 모굴

(싱글/듀얼 통합)데일 베그-스미스 (오스트레일리아)제니퍼 하일 (캐나다)



남자부에서는 예스퍼 뢴백(스웨덴), 토니 에메리(프랑스), 얀네 라흐텔라(핀란드)가 각각 2회씩 듀얼 모굴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여 최다 기록을 가지고 있다. 남자부에서 듀얼 모굴 종목 연패를 달성한 선수는 없다. 얀네 라흐텔라(1999-2000 시즌)와 데일 베그-스미스(2006-2007 시즌)는 싱글 모굴과 듀얼 모굴에서 동시에 시즌 우승을 차지한 기록이 있다.

여자부에서는 캔디스 길그(프랑스)와 카리 트라(노르웨이)가 각각 2회 우승으로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캔디스 길그는 1995-96 시즌과 1996-97 시즌에 연속 우승하며 여자부 유일의 듀얼 모굴 2연패 기록을 세웠다. 제니퍼 하일(캐나다)은 2006-2007 시즌에 싱글 모굴과 듀얼 모굴 동시 우승을 달성했다.

6. 2. 7. 하프파이프

하프파이프 종목은 2003-04 시즌부터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의 정식 종목으로 포함되었다.

시즌별 남녀 우승자는 다음과 같다.

시즌남자여자
2012-2013캐나다 마이크 리들스위스 버지니 파브르
2011-2012미국 데이비드 와이즈미국 브리타 시고니
2010-2011프랑스 브누아 발랑탱캐나다 사라 버크
2008-2009프랑스 케빈 롤란드스위스 버지니 파브르
2007-2008캐나다 매튜 헤이워드캐나다 사라 버크
2006-2007핀란드 칼레 레이노넨미국 제시카 커밍
2005-2006핀란드 칼레 레이노넨프랑스 아네 칼라두
2003-2004프랑스 마티아스 벡스틴프랑스 마리 마르티노드



남자부에서는 핀란드의 칼레 레이노넨이 2005-06 시즌과 2006-07 시즌에 연속 우승하며 2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여자부에서는 캐나다의 사라 버크(2007-08, 2010-11)와 스위스의 버지니 파브르(2008-09, 2012-13)가 각각 2회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6. 2. 8. 슬로프스타일

슬로프스타일 종목은 2011-12 시즌부터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 정식 종목으로 포함되었다.

=== 역대 우승자 ===

시즌남자여자
2011-12수릴 한지커 (스위스)린-이다 무르드 (노르웨이)
2012-13제임스 우즈 (영국)켈리 허먼 (미국)


7. 개최국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은 초기에 미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4개국에서 주로 개최되었다. 이듬해에는 이탈리아,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유럽 국가들로 개최지가 점차 확대되었다. 1987-1988 시즌에는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일본에서 대회가 열렸으며, 1997-1998 시즌에는 호주남반구 국가 최초로 에어리얼 종목 월드컵을 유치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5-2006 시즌에 모글 종목 월드컵이 개최된 바 있다.

7. 1. 역대 개최국 목록 (개최 연도)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은 1979-1980 시즌 미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4개국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이듬해 이탈리아, 스위스, 오스트리아가 추가되었고, 1987-1988 시즌에는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일본에서 개최되었다. 1997-1998 시즌에는 에어리얼 종목에 한해 남반구 국가로는 처음으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되는 등 점차 개최국이 확대되었다.

아래는 역대 개최국과 각 국가에서의 첫 개최 연도 및 (자료 기준) 마지막 개최 연도이다.

국가첫 개최 연도최근 개최 연도
미국1979-19802011-2012
독일1979-19802011-2012
프랑스1979-19802011-2012
캐나다1979-19802011-2012
이탈리아1980-19812011-2012
스위스1980-19812011-2012
오스트리아1980-19812011-2012
스웨덴1983-19842011-2012
노르웨이1985-19862011-2012
일본1987-19882011-2012
핀란드1988-19892011-2012
소비에트 연방1990-19911990-1991
오스트레일리아1997-19982005-2006
체코2002-20032010-2011
중국2003-20042011-2012
스페인2005-20062009-2010
대한민국2005-20062005-2006
러시아2007-20082011-2012
벨라루스2010-20112011-2012


참조

[1] 웹사이트 FIS-Ski - Freestyle World Cup https://web.archive.[...]
[2] 뉴스 Freestyle Skiing History https://www.cbc.ca/s[...] CBC Sports 2009-12-04
[3] 웹사이트 FIS: Complete Calendar of Freestyle Ski World Cup Races https://web.archive.[...] 2012-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